<3> 기로에 선 AI 대전환李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 25-05-20 09:01 조회 41회 댓글 0건본문
<3> 기로에 선 AI 대전환李 "GPU 확충" 데이터 언급 없어金 "규제 혁파" 이행 계획은 부재이준석은 '데이터특구 법안' 제안인프라 편중·재원방안 부재 비판[서울경제]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인공지능(AI) 인프라 확충을 공약 전면에 내세웠다. 특히 100조 원 규모의 자본을 투입해 기반 시설을 확대한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강조한다. 다만 구체적인 전략 목표와 방법론에서는 극명한 차이가 보인다. 이재명 후보는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장을 확보해 사회 전반에서 AX(AI 전환)를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김 후보는 규제 혁신을 기반으로 인재·기업·인프라라는 AI 생태계 3대 축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100조 투자 유치로 AI 시장 저변 확대…'데이터' 없이 가능할까이재명 후보는 자신의 10대 공약 가운데 첫 번째 항목인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의 실행 전략으로 ‘AI 대전환을 통한 AI 3대 강국 도약’을 제시했다. AI 예산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증액한다는 계획이다. 민간 투자 100조 원을 유치해 고성능 GPU 5만 개 확보와 AI 데이터센터 건설, 국가 AI 집적 클러스터 조성 등 기반 시설 확충도 강조한다. 또한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통해 전 국민 누구나 전자계산기를 쓰듯 챗GPT와 같은 AI 도구를 사용하도록 한다는 청사진도 밝혔다. 이에 대해 학계와 업계는 일단 환영한다. 김장현 성균관대 인공지능융합학과 교수는 “현재 한국의 인프라는 주요국에 비해 무척 작기 때문에 인프라가 잘 갖춰지는 것만으로도 해외로 떠나는 인재를 붙잡는 유인이 될 수 있다”며 “또한 AI 도구를 활용하는 수요를 넓힌다는 측면에서도 ‘모두의 AI’ 공약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다만 인프라 확충만큼 시급한 ‘데이터 규제 완화’에 대한 언급은 없어 아쉬움이 따른다. 국내 주요 플랫폼 기업들 사이에서는 복수의 규제로 인해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없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교통·기상·통계 등 공공 데이터조차 제대로 공개되지 않은 데다 민간 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법과 저작권법 때문에<3> 기로에 선 AI 대전환李 "GPU 확충" 데이터 언급 없어金 "규제 혁파" 이행 계획은 부재이준석은 '데이터특구 법안' 제안인프라 편중·재원방안 부재 비판[서울경제]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인공지능(AI) 인프라 확충을 공약 전면에 내세웠다. 특히 100조 원 규모의 자본을 투입해 기반 시설을 확대한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강조한다. 다만 구체적인 전략 목표와 방법론에서는 극명한 차이가 보인다. 이재명 후보는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장을 확보해 사회 전반에서 AX(AI 전환)를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김 후보는 규제 혁신을 기반으로 인재·기업·인프라라는 AI 생태계 3대 축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100조 투자 유치로 AI 시장 저변 확대…'데이터' 없이 가능할까이재명 후보는 자신의 10대 공약 가운데 첫 번째 항목인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의 실행 전략으로 ‘AI 대전환을 통한 AI 3대 강국 도약’을 제시했다. AI 예산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증액한다는 계획이다. 민간 투자 100조 원을 유치해 고성능 GPU 5만 개 확보와 AI 데이터센터 건설, 국가 AI 집적 클러스터 조성 등 기반 시설 확충도 강조한다. 또한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통해 전 국민 누구나 전자계산기를 쓰듯 챗GPT와 같은 AI 도구를 사용하도록 한다는 청사진도 밝혔다. 이에 대해 학계와 업계는 일단 환영한다. 김장현 성균관대 인공지능융합학과 교수는 “현재 한국의 인프라는 주요국에 비해 무척 작기 때문에 인프라가 잘 갖춰지는 것만으로도 해외로 떠나는 인재를 붙잡는 유인이 될 수 있다”며 “또한 AI 도구를 활용하는 수요를 넓힌다는 측면에서도 ‘모두의 AI’ 공약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다만 인프라 확충만큼 시급한 ‘데이터 규제 완화’에 대한 언급은 없어 아쉬움이 따른다. 국내 주요 플랫폼 기업들 사이에서는 복수의 규제로 인해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없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교통·기상·통계 등 공공 데이터조차 제대로 공개되지 않은 데다 민간 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법과 저작권법 때문에 제약이 많다. 초거대 AI 모델은 다양한 분야의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되는데 법적 제약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고품질 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