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 앱 ‘대구로’ 배달·택시·대 > 1 : 1 문의

본문 바로가기

1 : 1 문의

● 공공 앱 ‘대구로’ 배달·택시·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 25-04-11 17:02 조회 289회 댓글 0건

본문

● 공공 앱 ‘대구로’ 배달·택시·대리운전 전 영역서 성공● 대구시민 4명 중 1명은 대구로 이용자● 대구로 택시, 건당 호출 수수료 200원·최대 3만 원● 대구 소상공인 169억 원 수수료 절감 혜택● 어르신 교통카드·국가유공자 카드도 전국 최초 시행● 편의와 안전 모두 잡은 대구시 교통 혁신 2월 25일 대구 중구 거리에서 ‘대구로’ 서비스에 가입한 택시가 운행하고 있다. 홍중식 기자 "대구 사람이라면 아무래도 카카오보단 '대구로' 아입니까. 수수료가 카카오 택시보다 월등히 저렴하고, 우리 지역을 위해 수수료가 쓰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잖아요. 대구로를 통해 택시를 호출하면 건당 200원의 수수료만 지불하면 됩니다. 민간 플랫폼과 비교해 억수로 저렴해요. 애향심과 실리 두 측면에서 대구로가 이득이죠." 22년차 택시기사 신임기 씨가 2월 25일 시민생활종합플랫폼 대구로에 대해 "지역 경제를 생각해 대구로를 사용하는 시민이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구로는 민간 플랫폼의 고비용·독과점 구조로부터 지역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혜택을 시민에게 되돌려주기 위해 대구시에서 민·관협력 방식으로 운영하는 플랫폼이다. 2021년 8월 배달 플랫폼으로 시작된 대구로는 △전통시장 배송(2022년 8월) △택시 호출(2022년 12월) △꽃 배달(2023년 6월) △대리운전(2024년 7월) 등 점차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구시가 민·관협력 방식으로 운영하는 ‘대구로’는 지자체 공공 애플리케이션이 성공적으로 안착한 대표 사례다. 대구시 택시 호출 점유율, 공공 앱 중 최고 수준기자는 이날 북구와 동구 등 대구 곳곳에서 수차례 대구로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택시를 호출했다. 각기 다른 장소에서 택시를 호출했지만 배차가 완료되기까지 20초를 넘긴 경우는 없었다. 앱으로 호출해도 배차를 거부당하는 일이 적지 않은 서울과는 딴판이었다. ‘초고속 배차' 비결은 200원에 불과한 배차 수수료다. 이마저 최대 월 3만 원으로 한도가 정해져 있다. 3만 원을 넘는 배차 수수료가 발생하면 초과분은 내지 않아도 된다. 택시기사 처지 [테콜루카=AP/뉴시스] 미연방 메릴랜드주 지방법원이 제공한 날짜 미상의 사진에 미국 시민권자 제니퍼 스테파니 바스케스 수라의 남편 아브레고 가르시아가 엘살바도르 테콜루카의 테러범 수용소(CECOT)에서 교도관들에게 끌려가고 있다. 그를 다시 데려오라는 1심 판결을 항소법원도 지지했다. 2025.4.11.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미국 항소법원이 10일(현지시각) 정부가 엘살바도르로 잘못 추방한 이민자 킬마르 아르만도 아브레고 가르시아를 다시 데려오라는 하급법원의 명령의 일부를 승인하는 판결을 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버지니아주 제4 순회 항소법원은 판결문에서 “명령이 정부에게 엘살바도르에서 아브레고 가르시아의 석방을 '촉진'하고 그가 부당하게 엘살바도르로 보내지지 않았더라면 그의 사건이 처리되었을 방식대로 진행되도록 보장하도록 적절히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소 법원은 그러나 “하급 법원의 명령에서 '이행'이라는 용어의 범위가 불분명해 하급 법원의 권한을 초과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정부가 이미 취한 조치와 추가로 취할 조치의 상황에 대해 공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메릴랜드 연방 지방법원의 폴라 시니스 판사는 트럼프 정부가 아브레고 가르시아를 엘살바도르로 보낸 것은 ”심각한 오류“라며 연방 정부가 다시 데려오라고 명령했었다. 3인 판사로 구성된 항소법원은 아브레고 가르시아의 추방을 공식적 납치 행위에 비유했다. 스테파니 새커 판사는 판결문에 ”미국 정부는 합법적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사람을 거리에서 납치해 적법 절차 없이 국가에서 제거할 법적 권한이 없다“고 썼다. 로버트 킹 판사도 새커 판사의 의견에 동참했다. 마지막 하비 윌킨슨 판사는 시니스 판사가 정부에게 아브레고 가르시아의 복귀를 요구할 권한이 없다는 의견을 냈다. 그는 ”정부가 실수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면서도 ”하급 법원의 명령이 정부가 아브레고 가르시아의 석방을 '촉진'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넘어 복귀를 '요구'하는 것은 행정 권한에 대한 침해“라고 밝혔다.공감언론 뉴시스 yjkang1@newsis.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RL로직스

  • 대표 : 장승호
  •  
  • 사업자등록번호 : 828-88-01837
  •  
  • 상담시간평일 9:00 ~ 18:00

[한국 본사]

  • 한국주소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서동대로 437-105 107호
  • Tel. 031-681-8458 , Fax. 031-681-8459

[중국 지사]

  • 中文地址 : 浙江省 义乌市 江东街道 东山头村39幛 5-6单元(特隆国际物流 )
  • Hp. 131-8517-7999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 김용희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