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인공지능(AI)
[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인공지능(AI)에 의해 직무가 대체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직업이 현시점에선 '패턴사', 3년 후엔 '물류사무원'이라는 예측이 나왔다.생성형 AI의 영향으로 창의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직업군의 대체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대로 신체적 활동과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직업의 대체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인공지능이 작업하는 이미지 [사진=챗GPT 제작] 1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공개한 '인공지능에 의한 화이트칼라의 직무 대체 및 변화' 보고서는 한국직업정보에 있는 520개 직업을 대상으로 현재 시점(2024년)과 3년 후인 2027년의 AI에 의한 직무 대체율을 분석했다.2024년 520개 직업의 직무 대체율 평균값은 38.69%이었다. 이중 대체 가능성이 가장 낮은 최솟값은 0.00%(프로게이머), 대체 가능성이 가장 큰 최댓값은 71.65%(패턴사)였다. 2024년을 기준으로 보면 AI에 의한 직무 대체율이 가장 높은 직군은 패턴사처럼 '정보 및 데이터의 탐색, 수집, 분석, 처리 및 이에 기반한 특성 추정'과 관련된 업무 활동을 주로 수행하는 경우였다.3년 후엔 평균값이 66.71%로 두 배 가까이 올랐다. 또 최솟값은 3.23%(지휘자), 최댓값은 94.17%(물류사무원)로 상승했다.방송작가, 게임그래픽디자이너, 성우 등 '창의적 사고'에 기반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콘텐츠를 생산하는 직무를 주로 수행하는 직업들도 대체율이 높았다. 생성형 AI 발전의 영향으로 풀이된다.반대로 프로게이머, 직업 운동선수, 선박조립원, 낙농종사원, 보일러설치·정비원 등 '신체적 활동과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직업은 AI 대체율이 낮았다. 2024년 기준 AI 직무대체율별 직업 목록. [사진=한국고용정보원] 직무 대체율에 따라 직업을 저위험(직무 대체율 30% 미만), 중위험(30% 이상∼70% 미만), 고위험(70% 이상)으로 나눠보면 고위험군은 현재 1개에서 3년 후 226개로 증가했다. 반면 저위험군은 120개에서 8개로 급감했다.화이트칼라와 비(非)화이트칼라로 구분해 보면 3년 후 화이트칼라가 비화이트칼라보다 AI로 인해 더 급격하고 강력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화이트칼라의 직무가 대체로 데이터와 정보의 해외 뷰티 유튜버들이 올린 국산 선크림 사용 후기 영상. 유튜브 캡처 미국 현지에서 한국산 자외선 차단제(선크림) 사재기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트럼프발 관세폭탄으로 인한 가격 인상 우려 때문만은 아니다. 관세 폭탄을 피해 한국 기업이 선크림을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의약품 규제를 받아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소문 때문이다. ━ 美 FDA 규제, K뷰티는 우회? 디에프에스컴퍼니의 하루하루원더 선크림(왼쪽)과 위시컴퍼니의 디어 클레어스 선크림. 사진 각 사 13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K뷰티 업체들은 한국산 선크림의 인기에 반색하면서도 미국 소비자들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고민 중이다. 한국산 선크림의 품질력이 좋은 이유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이라는 잘못된 인식 때문이다. 지난 1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는 한국산 선크림 사재기 현상을 소개하며 “선크림을 화장품으로 분류하는 유럽·아시아와 달리 미국에서는 선크림에 의약품 규제를 적용한다”며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질감 좋은 선크림을 만들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중소형 뷰티 브랜드의 제품을 생산하는 ODM(제조사 개발생산) 업체들은 이미 미국 규제를 감안한 선크림을 생산·수출하고 있다. 한국콜마 측은 “지난해 생산한 미국 수출용 인증 규정(OTC) 선크림 품목 수가 전년보다 88% 증가했다”며 “의약품 기준을 충족하면서도 기존 발림성을 유지하도록 제품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코스맥스 측도 “미국뿐 아니라 국내 공장도 FDA 실사, OTC 적합 판정을 모두 거쳤다”며 “국내 선크림 제품의 제형이 다양해 해외에서 인기를 얻는 것”이라고 말했다. ━ 한국산 선크림, 사재기까지 구다이글로벌의 조선미녀 선크림. 홈페이지 캡처 선크림은 미국에서 K뷰티 흥행을 가장 먼저 이끌었던 제품이다. 촉촉하고 발림성이 좋은데다 다른 메이크업 제품을 덧발라도 잘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가격이 저렴한 것도 인기의 주요 요인 중 하나다. 한국산 선크림은 관세로 가격이 오르기 전 미리 주문해야할 제품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SN
[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인공지능(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