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이준석·김경수 ‘첫 도전’… 김영삼 3수, 김대중 4수 만에 대권 21대 대선 유력 주자들. 유경험자가 첫 도전자보다 훨씬 많다. 뉴스1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선 4수생 출신이다. 1971년, 1987년, 1992년 대선에서 패배하고 네 번째 도전인 1997년 대선에서 신한국당(현 국민의힘) 이회창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의 꿈을 이룰 수 있었다. 김 전 대통령의 대선 슬로건은 ‘준비된 대통령’이었다. 이 슬로건은 15년 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준비된 여성 대통령’으로 부활했다. 박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에 근무했던 한 인사는 “출마 경험이 쌓인 정치인은 신예보다 선거 운영 능력이나 위기 대응 능력이 더 뛰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상대가 첫 출마라면 이 같은 강점을 어필하는 전략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반면 대선 첫 도전에서 대권을 거머쥔 노무현, 윤석열 전 대통령은 ‘새바람’을 앞세웠다. 역대 대선 경선 최초로 당원뿐 아니라 일반 국민도 참여하는 ‘국민경선’을 거쳐 대선 후보가 된 노 전 대통령은 ‘국민 후보’라는 수식어와 함께 ‘새로운 대한민국’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윤 전 대통령의 슬로건은 ‘국민이 키운 윤석열, 내일을 바꾸는 대통령’이었다. 정치권 인사들에 따르면 처음 대선에 도전하는 정치인은 유권자에게 새로운 인물이 주는 변화와 개혁에 대한 기대감을 심어줄 수 있다. 특히 기존 정치인을 향한 피로감이 클수록 ‘신인 프리미엄’이 커질 수 있다고 본다.1987년 이후 첫 도전 vs 재도전 : 4 대 4 팽팽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치른 8번의 대선 결과를 살펴보면 노태우, 노무현, 이명박, 윤석열 전 대통령 등 4명은 단번에 대통령에 당선했다(표 참조). 반면 김영삼 전 대통령은 3수, 김대중 전 대통령은 4수, 박근혜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재수 끝에 대권 꿈을 이뤘다.6월 3일 치르는 21대 대선이 2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 대선 주자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번 조기 대선에서 국민은 유경험자를 선택할까, 아니면 대선 신인들의 새바람에 손을 들어줄까.원내 1당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유력시되는 이재명 전 대표는 2017년, 한동훈·이준석·김경수 ‘첫 도전’… 김영삼 3수, 김대중 4수 만에 대권 21대 대선 유력 주자들. 유경험자가 첫 도전자보다 훨씬 많다. 뉴스1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선 4수생 출신이다. 1971년, 1987년, 1992년 대선에서 패배하고 네 번째 도전인 1997년 대선에서 신한국당(현 국민의힘) 이회창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의 꿈을 이룰 수 있었다. 김 전 대통령의 대선 슬로건은 ‘준비된 대통령’이었다. 이 슬로건은 15년 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준비된 여성 대통령’으로 부활했다. 박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에 근무했던 한 인사는 “출마 경험이 쌓인 정치인은 신예보다 선거 운영 능력이나 위기 대응 능력이 더 뛰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상대가 첫 출마라면 이 같은 강점을 어필하는 전략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반면 대선 첫 도전에서 대권을 거머쥔 노무현, 윤석열 전 대통령은 ‘새바람’을 앞세웠다. 역대 대선 경선 최초로 당원뿐 아니라 일반 국민도 참여하는 ‘국민경선’을 거쳐 대선 후보가 된 노 전 대통령은 ‘국민 후보’라는 수식어와 함께 ‘새로운 대한민국’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윤 전 대통령의 슬로건은 ‘국민이 키운 윤석열, 내일을 바꾸는 대통령’이었다. 정치권 인사들에 따르면 처음 대선에 도전하는 정치인은 유권자에게 새로운 인물이 주는 변화와 개혁에 대한 기대감을 심어줄 수 있다. 특히 기존 정치인을 향한 피로감이 클수록 ‘신인 프리미엄’이 커질 수 있다고 본다.1987년 이후 첫 도전 vs 재도전 : 4 대 4 팽팽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치른 8번의 대선 결과를 살펴보면 노태우, 노무현, 이명박, 윤석열 전 대통령 등 4명은 단번에 대통령에 당선했다(표 참조). 반면 김영삼 전 대통령은 3수, 김대중 전 대통령은 4수, 박근혜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재수 끝에 대권 꿈을 이뤘다.6월 3일 치르는 21대 대선이 2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 대선 주자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번 조기 대선에서 국민은 유경험자를 선택할까, 아니면 대선 신인들의 새바람에 손을 들어줄까.원내 1당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유력시되는 이재명 전 대표는 2017년, 2022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대선 도전이다. 김두관 전 의원도 2012년, 2022년 대선 경선에 참여했고, 이번에 세 번째 경선을 치른다. 국민의힘 김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