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매크로
정치가 어지러운 요즘, 하늘길은 다시 붐빈다. 이륙을 기다리는 비행기, 공항에 모여든 사람들, 그리고 저 멀리 고요한 제주 바다. 지금을 닮은 풍경이다. 정국은 흔들리지만, 제주는 여전히 움직이고 있다. ‘탄핵‘이라는 큰 변수 앞에서 단체관광은 잠시 멈췄고, 내국인 유치 정책도 선거법 해석을 기다리며 숨을 고르고 있다. 그래도 연휴는 다가오고, 수학여행 버스도 곧 제주에 닿을 거다. 제주는 그 틈에서 다시 방향을 잡으려 한다. 위기와 흐름, 혼란과 가능성은 늘 같이 움직인다. 지금 제주가 어떤 선택을 할지는, 바로 그 교차점에서 시작될지 모른다.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으로 6월초 조기 대선이 확실시되면서, 회복세를 보이던 제주 관광이 다시 정치 리스크와 맞닥뜨렸습니다. 단체관광 수요는 움츠러들고, 내국인 대상 인센티브 정책은 선거법 유권해석을 앞두고 제동이 걸릴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그러나 이미 포화에 가까운 5월 황금연휴 예약과 전국적으로 9만 명을 웃도는 교육여행 수요는 반전의 발판이 되고 있습니다. ‘탄핵 대선’이라는 변수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제주 관광의 유연한 대응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단체관광 차량들이 줄지어 정차한 관광지 주차장. 조기 대선을 앞두고 단체 수요가 움츠러들 수 있다는 전망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선거법 덫에 걸렸다”.. 단체관광, 숨 고르기4일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파면 결정에 따라, 60일 이내 조기 대선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선거일은 5월말에서 6월초 사이로 예측되며, 제주자치도가 이달부터 전개한 내국인 대상 여행 인센티브 정책은 공직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중단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공직선거법 제선 규정은 향우회, 종친회, 동창회 등 각종 친목 모임이 선거에 영향 줄 수 있는 방식으로 단체 활동을 벌일 경우 위법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관광업계에서는 “자칫 선관위의 추적 대상이 될 것을 우려해 단체관광을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마저 제기되고 있습니다. 관광 지난해 10월 2일 서울 시내 하늘 위에 떠 있는 북한의 대남 쓰레기 풍선에서 쓰레기들이 떨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북한의 쓰레기 풍선이 남한으로 날아오는 등 남북관계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 속에서 학생 10명 가운데 약 4명은 통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통계를 낸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통일부는 4일 전국 시도교육청 협조를 받아 지난해 초·중·고교 775곳의 학생 7만4,288명, 교사 4,4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 없다’는 응답은 42.3%로 2014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과 이듬해 각각 31.7%, 38.9%를 나타내며 꾸준히 올랐지만 40%를 넘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반대로 ‘통일이 필요하다’는 학생 비율은 47.6%로 전년 대비 2.2%포인트 줄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북한과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10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조사된 결과라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통일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학생들은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통일 이후 생겨날 사회적 문제’ 때문이라는 응답이 29.4%로 가장 많았다. 이어 ‘통일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22.2%), ‘남북 간 정치제도 차이’(18.7%) 순이었다. 대북 인식과 관련해서는 63.2%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경계 대상’과 ‘적대적인 대상’이라는 응답이 각각 48.2%, 15.0%였다. 반면 ‘협력 대상’이라는 인식은 27.8%, ‘도와줘야 하는 대상’이란 인식은 6.5%에 그쳤다. 현재 남북관계가 평화롭지 않다는 학생은 75.8%로, '평화롭다'(4.6%)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만 교사들의 경우 통일이 '필요하다'(79.2%)는 응답이 '필요 없다'(17.7%)를 크게 웃돌아 학생들과의 인식 차가 컸다. 2021년 같은 조사에서 협력·도움 대상이라는 인식이 60.6%, 경계·적대 대상이라는 인식이 34.8%로 집계된 결과와 비교하면 3년 만에 학생들의 대북 인식이 180도 바뀐 셈이다. 또 2021년에는 통일이 필요하다는 학생 비율이 필요 없다는 학생의 2배가 넘었지만 지난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통일부는 “북한의 도발과 남북관계 단절 상황이 지속되면서 학생들의
디시인사이드매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