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 붙은 울산대 앞 점포 [촬영 장지현] (울산=연합뉴스) 장지현 기자 = "장사 시작할 때랑 비교하면 유동 인구가 10분의 1로 줄어들었습니다."금요일이었던 지난달 21일 오후 7시 30분쯤 방문한 울산 남구 무거동 바보사거리 디자인거리.이곳은 인근에 울산대학교와 울산과학대학교 캠퍼스가 위치한 울산 최대 대학가다.삼삼오오 모여든 대학생들이 길거리를 가득 채워야 할 개강 철 금요일 저녁이었지만, 거리는 비교적 한산한 분위기였다.밤마다 개강 파티를 여는 신입생들로 성업을 이뤘을 호프집도 끽해야 두세 테이블에 간신히 자리를 채웠다.조명만 켜둔 채 파리를 날리고 있는 가게, 아예 불이 켜지지 않은 점포도 더러 눈에 띄었다. 텅빈 무거동 일대 [촬영 장지현] 골목 곳곳에서도 '임대' 안내문이 붙은 빈 상가가 한 집 건너 한집 꼴로 줄을 지었다.시내버스가 다니는 인근 대로변에는 1층에 위치한 점포 4곳이 연달아 폐업해 쓸쓸한 분위기를 연출했다.한때 울산 최대 상권 중 하나였던 무거동 대학가 상권이 인구 감소로 악화하면서 인근 자영업자들은 시름하고 있다.무거동에서 14년째 분식집을 운영 중인 한 상인은 "처음 점포를 차릴 때와 비교하면 거의 10배 차이가 난다"며 "지금은 그나마 개강 철이라서 좀 낫지만 몇주만 지나면 이조차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하소연했다.근처에서 10년 동안 식당을 운영하는 또 다른 자영업자는 "원래 이 일대 상가는 대부분 1층은 물론 2, 3층까지 꽉 찼는데 이제는 한 건물이 통째로 비어있는 곳도 있다"며 "울산 최고 상권 중 하나라는 명성도 이젠 옛말"이라고 한탄했다. 줄지은 공실 [촬영 장지현] 무거동 일대는 과거 울산대학교를 중심으로 청년층 수요가 있는 음식점, 카페 등 각종 가게가 들어서며 활기를 띠었던 상권이다.남구 삼산동, 중구 성남동과 함께 울산 3대 상권 중 하나로 불렸지만, 최근 경기 악화에 지속적인 인구 감소까지 더해지며 심각한 침체를 겪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울산대 학부 재학생 수는 10% 넘게 줄어들었다.2020년까지만 해도 1만2천명대를 유지했는데, 지난해 1만677명으로 떨어지며 1만명 선을 간신히 지켰다.학생이 줄어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4일 특수작전부대 훈련기지를 방문하고 종합훈련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5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길리슈트(Ghillie Suit) 위장 복장을 한 특수부대원들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4일 특수작전부대 훈련기지를 방문하고 종합훈련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5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길리슈트(Ghillie Suit) 위장 복장을 한 특수부대원들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특수작전부대 훈련기지를 방문하고 종합훈련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5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길리슈트(Ghillie Suit) 위장 복장을 한 특수부대원들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서울경제] 우크라이나군이 지난해 12월 26일(현지 시간) 북한군의 ‘드론(무인기) 사냥법’이라며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사망한 북한군 병사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를 페이스북 계정에 공개해 외신의 주목을 받았다.북한군 수첩에 적혀 있던 일종의 ‘드론 사냥법’ 메모에 따르면 드론을 감지하면 3인조를 구성해 드론을 유인하는 사람은 7m, 사격하는 사람은 10∼12m의 거리에 위치하고, 유인하는 사람이 가만히 서 있으면 드론도 움직임을 멈출 때 사격자가 일제히 사격해 드론을 제거한다고 적혀있다.우크라이나군은 “이게 진짜 북한의 전술인지 러시아가 가르쳐준 것인지는 알 수 없다”며 “하지만 이 전술은 살아있는 미끼를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분석했다.또 포 사격 구역에서 살아남는 방법도 담겼는데, 포병이 동일한 지점에 계속 사격하지 않으므로, 이전에 피격된 포탄 구덩이에 몸을 숨긴 뒤 사격 구역을 벗어날 수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이 같은 북한군의 전술에 대해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GUR)은 북한군의 실전 경험 부족을 지적하며 “북한군 참전이 전황에 주목할만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며 “북한군이 현대전 특히 드론에 경험이 거의 없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