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핑크돌핀스를 비롯한 전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 25-04-15 19:28 조회 158회 댓글 0건본문
핫핑크돌핀스를 비롯한 전국 8개 시민사회단체들이 15일 네이버 본사 앞에서 고래고기 판매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핫핑크돌핀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핫핑크돌핀스, 정치하는엄마들, 생명다양성재단, 시셰퍼드 코리아, 환경운동연합, 성미산학교 포스트중등, 동물해방물결, 동물권행동 카라 등 8개 시민사회단체는 15일 네이버 본사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고래 사체'의 온라인 판매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기자회견은 핫핑크돌핀스 조약골 활동가의 배경 설명, 기자회견문 낭독, 참가단체 발언 (정치하는엄마들, 동물해방물결, 핫핑크돌핀스, 환경운동연합) 순으로 약 20여 분간 진행됐다. 참가단체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에서 ‘고래고기’로 검색을 해보면 고래 사체 식품이 42개 검색된다. 포항, 부산, 울산의 업체가 판매하는 고래고기 상품이 다수 등록돼 있다. 포털 다음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되는 고래고기 상품 화면 캡처 포털 사이트 고래고기 상품 화면 캡처 이날 참여단체는 공동으로 작성한 요청 서한을 현장에서 네이버 측에 전달하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네이버 측에서 원하는 대로 등기우편으로 발송했다. 핫핑크돌핀스 활동가 유귤씨는 "네이버가 보호종의 사체에 적립과 할인 태그를 다는 것은 (판매)창구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고래 사체 유통을 촉진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불법이 아니라고 해서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닌 만큼 허술한 규제를 악용해 국제 보호종의 포획과 소비를 장려해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동물해방물결 장희지 활동가는 "고래는 넓은 바다를 유영하고, 그들만의 언어와 문화를 가진 바다의 고유한 생명이다"라며 "인간은 이 생명을 착취하고 그 죽음을 상품화할 것이 아니라 이 존재들 앞에서 ‘어떻게 함께 살아가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에 대한 윤리적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 남궁수진씨는 "네이버는 환경보고서를 통해 주요 환경단체 및 기관과 네이버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생태 환경 및 생물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협업하겠다고 약속하고 있다"라며 "하지만 국제적인 환경단체가 보낸 고래고기 유통을 중단시켜달라는 공식적인 서한에 침12·3 비상계엄 이후 ‘방첩사 작성한 계엄 문건 공개’라는 제목으로 국내에 확산된 피싱 메일의 배후에 북한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 해커 조직은 비상계엄을 비롯해 오늘의 운세, 임영웅 등 유명 가수 콘서트 초대장 등을 가장해 국내 개인정보 탈취를 시도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5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북한 해커 조직은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1월까지 1만7744명에 피싱 메일을 12만6266회 발송했다. 그 과정에서 120명은 계정정보를 탈취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지난해 12월11일 발송된 방첩사 계엄 문건 피싱 메일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해외 업체를 통해 임대한 서버 15대가 이용된 사실을 발견했다. 서버 기록을 분석해보니 다른 피싱 메일이 발송된 시점과 수신자의 열람 여부, 피싱 사이트 접속 등 피해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북한 해커 조직이 피싱 범죄를 위해 전송한 메일은 계엄 문건부터 오늘의 운세, 건강정보, 세금환급, 상품할인, 뉴스기사 등 30종에 달하는 내용이 담겼다. 사칭 메일·사이트 주소도 ‘go.kr’을 ‘com’으로 바꾸거나 일부 알파벳만 추가하는 등 치밀하게 범행을 꾸민 흔적이 나타났다. 피싱 메일은 수신자가 해당 메일 속 링크를 누르면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으로 꾸민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되고 여기에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계정정보를 탈취당하도록 설계됐다. 계엄 문건 등 첨부 파일을 누르면 악성코드가 컴퓨터에 설치됐다. 경찰은 서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소행이라는 단서를 찾았다고 밝혔다. 서버 코드의 주석, 인터넷 검색기록 등에서 북한이 사용하는 컴퓨터 용어인 포구(포트), 기동(동작), 현시(모니터 출력), 페지(페이지) 등이 발견됐고 아이피(IP) 주소도 중국과 북한의 접경지역에 할당돼 있었다. 특히 이들은 통일·안보·국방·외교 분야 종사자를 주 타깃으로 메일을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경찰 관계자는 “개인정보가 탈취된 120명에 피해가 통지됐고 금전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며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발송자가 불분명한 메일은 열람하지 말고 첨부파일과 링크는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안승진 기자 prodo@segye.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