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링크프로그램
- 헌재 8대 0 결정, 역사에 부끄러운 이름 남길 수 없었을 것- 윤석열 전 대통령, 끝까지 국민에 사과 없었다- 헌재 판단, 尹 내란 혐의 재판에도 영향 줄 것- 조기 대선, 헌정 수호 세력 vs 헌정 파괴 세력 대결될 것- 국민의힘, 여전히 탄핵 부정… 내란 옹호 세력 평가받을 것[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 방송 : FM 94.5 (17:00~19:00)■ 방송일 : 2025년 4월 4일 (금)■ 진행 :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대담 : 박균택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 탄핵소추위원)*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이하 신율): 이번에 만나볼 분은 더불어민주당 박균택 의원입니다. 지금 전화 연결돼 있습니다. 의원님 안녕하십니까?◆박균택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하 박균택): 예 안녕하십니까? 박균택입니다◇신율: 오늘 8 대 0 나왔어요. 박 의원님은 예전부터 8 대 0이라고 말씀하지 않으셨나요? 맞죠?◆박균택: 그렇습니다. 계속 8 대 0으로 이렇게 일관되게 주장을 해 왔습니다. 탄핵 소추 사유 5개가 모두 위헌 위법으로 인정이 되고 또 중대하기 때문에 탄핵을 기각하는 결정문을 쓰려고 해도 쓸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런 판단하에 그렇게 예상을 했고 또 재판관들이 명예감이 있는 분들인데 역사에 부끄러운 이름을 남길 수가 없다 그래서 8 대 0이라고 확신했던 건데 예상대로 결과가 나온 것 같습니다.◇신율: 박 의원님은 뭐 법조인 출신이시고 검사장 출신이신데 이거 왜 이렇게 오래 걸렸다고 보세요? 이게 8 대 0인데◆박균택: 아마 세 분 정도가 조금 좀 뜸을 들인 건 맞는 것 같습니다. 윤석열 피청구인 쪽에서 얘기하는 여러 가지 각하 사유라든가 뭐 법적인 쟁점이라든가 이런 모든 것에 대해서 하나하나 짚고 의견을 얘기하고 유보하고 토론하면서 이 절차를 계속 꼼꼼히 따지다 보니까 그런 절차적인 부분 또 이렇게 시기를 최대한 늦춰가면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이는 부분 이런 것은 보수의 어떤 목소리 의견을 좀 존중해 줬던 것이 아닌가 싶고 그리고 마지막에 가서 최종적인 결론을 내릴 때는 직업적인 양심상 다른 판단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결국은 8 대 0 결정을 할 수밖에 없었을 거라고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신율: 윤석열 전 대통령이죠. 전 대통령이 헌재 선고가 11- 헌재 8대 0 결정, 역사에 부끄러운 이름 남길 수 없었을 것- 윤석열 전 대통령, 끝까지 국민에 사과 없었다- 헌재 판단, 尹 내란 혐의 재판에도 영향 줄 것- 조기 대선, 헌정 수호 세력 vs 헌정 파괴 세력 대결될 것- 국민의힘, 여전히 탄핵 부정… 내란 옹호 세력 평가받을 것[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 방송 : FM 94.5 (17:00~19:00)■ 방송일 : 2025년 4월 4일 (금)■ 진행 :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대담 : 박균택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 탄핵소추위원)*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이하 신율): 이번에 만나볼 분은 더불어민주당 박균택 의원입니다. 지금 전화 연결돼 있습니다. 의원님 안녕하십니까?◆박균택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하 박균택): 예 안녕하십니까? 박균택입니다◇신율: 오늘 8 대 0 나왔어요. 박 의원님은 예전부터 8 대 0이라고 말씀하지 않으셨나요? 맞죠?◆박균택: 그렇습니다. 계속 8 대 0으로 이렇게 일관되게 주장을 해 왔습니다. 탄핵 소추 사유 5개가 모두 위헌 위법으로 인정이 되고 또 중대하기 때문에 탄핵을 기각하는 결정문을 쓰려고 해도 쓸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런 판단하에 그렇게 예상을 했고 또 재판관들이 명예감이 있는 분들인데 역사에 부끄러운 이름을 남길 수가 없다 그래서 8 대 0이라고 확신했던 건데 예상대로 결과가 나온 것 같습니다.◇신율: 박 의원님은 뭐 법조인 출신이시고 검사장 출신이신데 이거 왜 이렇게 오래 걸렸다고 보세요? 이게 8 대 0인데◆박균택: 아마 세 분 정도가 조금 좀 뜸을 들인 건 맞는 것 같습니다. 윤석열 피청구인 쪽에서 얘기하는 여러 가지 각하 사유라든가 뭐 법적인 쟁점이라든가 이런 모든 것에 대해서 하나하나 짚고 의견을 얘기하고 유보하고 토론하면서 이 절차를 계속 꼼꼼히 따지다 보니까 그런 절차적인 부분 또 이렇게 시기를 최대한 늦춰가면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이는 부분 이런 것은 보수의 어떤 목소리 의견을 좀 존중해 줬던 것이 아닌가 싶고 그리고 마지막에 가서 최종적인 결론을 내릴 때는 직업적인 양심상 다른 판단을 할 수가 없기 때문
백링크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