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 기존 SK 대표 AI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 25-04-22 04:54 조회 122회 댓글 0건본문
누구, 기존 SK 대표 AI
누구, 기존 SK 대표 AI 서비스…대화 맥락 이해하는 에이닷으로 중심축 옮겨가SKB "업그레이드 통합"…향후 내비 등 누구 적용 각종 서비스도 통합 가능성[서울=뉴시스] SK브로드밴드가 IPTV 셋톱박스에 중복 적용하던 AI 플랫폼을 에이닷으로 통합한다. (사진=SKB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아리야~” 라는 호출어로 불렸던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플랫폼 누구(NUGU)가 생성형AI 플랫폼 에이닷의 등장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앞서 누구를 접목했던 전화 플랫폼 T전화를 에이닷 전화로 완전히 바꾼데 이어 SK브로드밴드도 IPTV의 음성 서비스를 에이닷으로 전면 통합한다. 장기적으로는 각 서비스에 제공하던 누구를 차츰 에이닷으로 바꿔나간다는 계획이다. 21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브로드밴드는 IPTV서 적용 중인 AI·음성 서비스를 에이닷으로 통합 제공한다. 누구는 SK텔레콤이 독자 개발한 개발한 자연어 처리 엔진을 기반으로 한 AI 서비스다. 2016년 9월 공식 출시된 이후 SK텔레콤의 대표 AI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 출시 초기에는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스피커였다. 이후 음성 명령이 가능한 가전으로 이용 가능 대상이 확대됐고 또 SK텔레콤 관련 앱 서비스 내비게이션, 음악스트리밍서비스 등에도 적용했다. 그러다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에이닷’이 등장했다. 단순 질문에 대답하는 수준의 누구와 달리 에이닷이 맥락을 이해하고 여러 번에 걸쳐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수준을 갖추면서 SK텔레콤은 에이닷을 대표 AI 서비스로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서울=뉴시스] SK브로드밴드의 AI 기반 미디어포털 생태계 개요. (사진=SKB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이에 SK브로드밴드가 이번에 AI 서비스를 에이닷으로 통합한 것은 당연한 수순으로 여겨진다. IPTV 셋톱박스에 누구를 적용한 것은 지난 2018년 1월이었다. 이후 줄곧 누구로 AI 서비스를 해 오다 6년여 만인 지난해 하반기 에이닷 서비스를 적용, 보다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했다. 누구는 TV 전원, 음량 조절, 채널 변경과 같은 단순한 명령어를 수행하는 수준이었다면 “에이닷은 요즘 배우 정해인이 나오는 드라마가 인기라는데 뭐지”라는 복잡한 명령어를 비롯해, 다음으로 “사람들 반응은 어때”라고 물으면 안내한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들의 평가나 줄거리까지 안내한다. 이처럼 에이닷이 명령을 이해하는 데 더 높은 수준을 갖추고 있는 만큼 모든 서비스에 전면 적용하기로 한 것이다. SK브로드밴드누구, 기존 SK 대표 AI 서비스…대화 맥락 이해하는 에이닷으로 중심축 옮겨가SKB "업그레이드 통합"…향후 내비 등 누구 적용 각종 서비스도 통합 가능성[서울=뉴시스] SK브로드밴드가 IPTV 셋톱박스에 중복 적용하던 AI 플랫폼을 에이닷으로 통합한다. (사진=SKB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아리야~” 라는 호출어로 불렸던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플랫폼 누구(NUGU)가 생성형AI 플랫폼 에이닷의 등장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앞서 누구를 접목했던 전화 플랫폼 T전화를 에이닷 전화로 완전히 바꾼데 이어 SK브로드밴드도 IPTV의 음성 서비스를 에이닷으로 전면 통합한다. 장기적으로는 각 서비스에 제공하던 누구를 차츰 에이닷으로 바꿔나간다는 계획이다. 21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브로드밴드는 IPTV서 적용 중인 AI·음성 서비스를 에이닷으로 통합 제공한다. 누구는 SK텔레콤이 독자 개발한 개발한 자연어 처리 엔진을 기반으로 한 AI 서비스다. 2016년 9월 공식 출시된 이후 SK텔레콤의 대표 AI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 출시 초기에는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스피커였다. 이후 음성 명령이 가능한 가전으로 이용 가능 대상이 확대됐고 또 SK텔레콤 관련 앱 서비스 내비게이션, 음악스트리밍서비스 등에도 적용했다. 그러다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에이닷’이 등장했다. 단순 질문에 대답하는 수준의 누구와 달리 에이닷이 맥락을 이해하고 여러 번에 걸쳐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수준을 갖추면서 SK텔레콤은 에이닷을 대표 AI 서비스로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서울=뉴시스] SK브로드밴드의 AI 기반 미디어포털 생태계 개요. (사진=SKB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이에 SK브로드밴드가 이번에 AI 서비스를 에이닷으로 통합한 것은 당연한 수순으로 여겨진다. IPTV 셋톱박스에 누구를 적용한 것은 지난 2018년 1월이었다. 이후 줄곧 누구로 AI 서비스를 해 오다 6년여 만인 지난해 하반기 에이닷 서비스를 적용, 보다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했다. 누구는 TV 전원, 음량 조절, 채널 변경과 같은 단순한 명령어를 수행하는 수준이었다면 “에이닷은 요즘 배우 정해인이 나오는 드라마가 인기라는데 뭐지”라는 복잡한 명령어를 비롯해, 다음으로 “사람들 반응은 어때”라고 물으면 안내한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들의 평가나 줄거리까지 안내한다. 이처럼 에이닷이 명령을 이해하는 데 더 높은 수준을 갖추고 있는 만
누구, 기존 SK 대표 AI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