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독자제공]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한 번 사면 10년 이상 걱정 없이 쓴다면서.”최근 거실 등이 깜빡거려 교체하려 한 A씨. LED등을 확인하는 순간 짜증부터 났다. 그는 “원래 더 저렴한 조명을 쓰려다가, 한번 쓰면 10년 이상 쓸 수 있다는 말에 LED 거실등으로 바꿨다”며 “형광등도 아니고 어떻게 교체해야 할 지 막막하더라”고 토로했다.수소문한 끝에 결국 전문 기사 출장까지 불렀고, 형광등처럼 일부 부품만 교체하는 게 아닌 통째로 교체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그는 “3년쯤 썼는데, 출장비에 새로 구입하는 LED 거실등 비용까지 더하니 하면 오히려 큰 손해 같았다”며 “차라리 형광등 달고 싶다고 하니 이제 곧 생산 금지가 돼 싫어도 LED를 써야 한다더라”고 털어놨다.더 분통 터진 건 고장 난 LED 거실등을 버릴 때. 분리배출이 불가해 쓰레기 봉투로 버려야 하는데, 20리터로는 어림도 없었다. 결국 초대형 쓰레기 봉투까지 추가 구매했다고.A씨는 “플라스틱 빨대 하나도 분리 배출 신경 쓰는 시대에, 멀쩡한 금속 등까지 통째로 다 버리라니, LED가 진짜 친환경 맞느냐”고 토로했다. [독자 제공] LED 조명이 대세다. LED 조명은 금이나 구리 등 유가금속이 있는 귀한 재활용 품목. 이 때문에 정부도 형광등 대신 LED 조명 사용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심지어 2027년부턴 기존 형광등 신규 제작 자체가 금지된다. 이제 LED 조명은 선택이 아닌 의무다.문제는 이렇게 귀하고 재활용이 중요한 LED 조명이라면서, 재활용 체계는 터무니없이 미비하다는 데에 있다. 가정에서 대부분 쓰고 있는 거실 LED 조명 등은 아예 재활용 품목에서 제외돼 있다. 그냥 통째로 다 버려진다.LED 조명 사용이 급증하면서 품질 불량의 제품도 넘쳐난다. 그러다보니 수명이 형광등과 다름 없는 제품까지 난립하는 실정. 금방 고장하는 제품은 넘쳐나고, 재활용은 막혀 있다. 결국, 넘쳐나는 건 고스란히 버려지는 대형 LED 조명 쓰레기들이다.LED 조명이 모두 재활용 불가인 건 아니다. 전구형[앵커]의원들 실명을 거론하며 '스스로 거취를 표명하라'고 했던 국민의힘 혁신위가 오늘(18일)은 '인적 쇄신 제도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당원 투표로 공천 부적격자를 정하는 내용까지 담겼습니다. 당내 반발에 정면 돌파하려는 모습인데, 주류의 동의를 이끌어내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구민주 기자입니다.[기자]국민의힘에서는 오늘도 혁신위원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박정하/국민의힘 의원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 (혁신위가) 좌충우돌하고 있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요. 윤희숙 위원장이 자기 정치하는 것 아니냐 이런 얘기가 나올 정도로요.]윤희숙 위원장이 그제(16일) '1호 인적 청산 대상'을 발표한 이후,[윤희숙/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지난 16일) : 당을 탄핵의 바다에 밀어 넣고 있는 나경원, 윤상현, 장동혁 의원, 송언석 대표는 스스로 거취를 밝히십시오.]내홍이 깊어지고 있는 겁니다.[윤희숙/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어제 17일) : 비공개 (회의) 때 있었던 이야기니까 그냥 다구리라는 말로 요약하겠습니다.]지도부가 '집단 경고'까지 한 상황, 하지만 혁신위원회는 당원 주도의 인적 쇄신을 또다시 들고나왔습니다.당헌·당규에 있지만 유명무실한 당원소환제를 현실화하겠다고 했고,[호준석/국민의힘 혁신위원 : 소환 대상은 당 소속인 선출직 공직자와 선출직 당직자 전원으로 확대하는 것입니다. 청구 기준을 대폭 완화할 계획입니다.]전 당원 투표를 통해 현역 의원이 다음 공천 부적격자로 결정되면 아예 다른 사람을 '조기 공천'하는 안까지 넣었습니다.2차, 3차 인적 쇄신을 추후에 논의할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쇄신 요구에 대한 당내 비판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오늘 발표된, 이른바 '윤희숙 혁신안'은 다음 주 월요일 의원총회에서 논의될 예정인데, 격론이 불가피해 보입니다.혁신위에서는 의총에서 혁신안들이 거부될 경우 "사실상 활동 종료와 다름없다"는 말로 배수진을 치기도 했습니다.[영상취재박재현 신승규 영상편집 배송희]
[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