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김기남
(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3일 세종시청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2025.4.1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으로부터 연방제 표현에 대한 비판을 받고 "마치 종소리가 울리면 침부터 흘리는 파블로프의 개가 생각난다"라고 주장했다.김 의원은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제 출마선언에 대해 나경원 의원님이 공개한 메시지를 보았다"라며 "일단 색깔론부터 꺼내 뒤집어씌우려 드는 게, 마치 종소리가 울리면 침부터 흘리는 파블로프의 개가 생각난다"라고 썼다.김 의원은 "(조기대선 출마 선언에서)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로 가야 한다'라고 주장했더니 나경원 의원께서 그게 '김일성이 주장했던 고려연방제와 맥을 같이 하는 주장'이라고 한다"라고 했다.김 의원은 "연방제하면 미국이나 독일을 연상하는 사람과 북한을 연상하는 사람이 있겠다"라며 "나 의원 주장대로라면, 한국의 극우가 선망하는 연방제 국가 미국이야말로 대표적인 친북 국가가 되는 것일까"라고 했다.아울러 나 의원을 겨냥해 "자기 망상에 빠진 비난은 거절하겠다"라며 "가짜뉴스에 빠져 계엄을 일으킨 윤석열과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국회 제2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서신만큼 부디 지금이라도 이성을 찾으시길 바란다"고 했다.앞서 나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국토 균형 발전과 행정 효율성 제고라는 (김경수 전 지사의) 방향은 좋다"라면서 "하지만 그가 꺼내든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는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뜨리고 국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선언한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13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사저 이화장을 찾아 이영일 전 의원과 환담을 나누고 있다. 2025.04.13. jhope@newsis.com /사진=정병혁 김지훈 기자 lhshy@mt.co.kr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치솟은 국채금리 영향으로 상호관세에 대한 강경한 입장에서 한발 물러서며 충격파에 흔들렸던 글로벌 경제는 다소 안정을 찾아가는 흐름이다. 그러나 정작 ‘관세전쟁’의 시발점이 된 미국은 국채시장이라는 경제의 ‘아킬레스건’이 드러나고, 달러화의 위상이 일정 부분 훼손되며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 등에 따르면 글로벌 채권금리 벤치마크인 10년 만기 미국채 수익률은 11일 기준 4.493%에 달했다. 4일 3.991%와 비교하면 무서운 급등세로 상승 흐름이 꺾이지 않고 있다. 이는 상호관세 부과로 전 세계 주식시장이 폭락하는 와중에 발생해 매우 이례적인 것이다. 주식은 위험자산으로 간주되는 반면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받아들여져 두 자산의 등락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레이스의 애널리스트 아제이 라자디야크샤는 “채권이 왜 이렇게 요동치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혼란스러워하며 “정상이 아니다”라고 했다. 사진=AFP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채를 다량 보유한 세력이 ‘정치적 이유’로 시장에 대규모 투매를 했다는 의혹이 월가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SMBC닛코증권의 오쿠무라 아타루 수석 금리 전략가는 “중국이 보복으로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있을 수 있다”며 중국이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글로벌 금융 시장에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란 신호를 보일 유인이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실제로 매각에 나섰는지를 확인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터라 시장에서는 위기감이 확산하는 상황이다. 사실상 ‘안전자산’으로 받아들여지던 미국채의 가격이 외부의 힘에 의해 요동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된 탓이다. 어니 테데스키 예일대 예산연구소장은 “글로벌경제에서 미국과 달러화의 입지에 대한 신뢰가 약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그는 “세계 금융의 상당 부분은 미국 국채의 안전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며 미국채의 신뢰 훼손이
(세종=뉴스1) 김기남